기타397 개경포-고령 팔만대장경을 옮겼으리라고 추정되는 개경포팔만대장경을 제작한 동기는 11세기에 거란군의 침입을 막고자 고려 현종 대부터 선종 대까지 약 80년에 걸쳐 초조대장경을 만든 것에서 시작했다. 대장경(高麗大藏經)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고려가 몽골의 침입을 불력(佛力)으로 막아내고자 1236년(고종 23년) 강화군에서 조판에 착수하여 15년이 지난 1251년(고종 38년)까지 총 16년에 걸쳐 완성한 고려의 대장경이다. 고려 조정은 강화도에서 제작된 팔만대장경 경판들을 본래 강화성 서문 밖 대장경판당에 보관했다가 나중에 선원사로 옮겼다. 조선이 건국된 지 얼마 되지 않은 1398년(태조 7년) 5월 합천 해인사로 옮겨 오늘날에 이른다. 배가 드나들었던 강포구 2024. 10. 14. 삼도수군통제사 신유장군 유적지 신유 (申瀏) 조선 효종 때의 장군(1619~1680). 효종 9년(1658)에 나선 정벌에서 중국 청나라의 원군으로 출병하여 흑룡강에서 제정 러시아군을 물리쳤으며, 삼도 수군 통제사를 지냈다. 2024. 10. 9. 신동대굴 신동대굴의 유래-국제신문 발췌'양산군지'에 따르면 400년 전 신동대라는 사람이 시살등 아래 굴에 살았다. 그는 축지법에 능해 하룻밤에 한양에 가서 궁녀들을 겁탈하고 달아나곤 했다. 나라에서는 궁녀들이 그의 몸에 매어둔 명주 끈을 단서로 그를 잡아들이려 했다. 하루는 신동대가 중국 안동으로 도망가 자기보다 더 뛰어난 도인을 만나 잘못을 빌었다. 노인은 그에게 장에서 만나는 어떤 사람과도 얘기하지 말라고 일렀다. 그는 고향에 돌아와 도술을 의롭게 써서 임진왜란 때는 왜구를 무찌르기도 했다. 그러나 어느 날 장에서 우연히 만난 할머니와 얘기를 나누고 말았는데, 그날 그는 바드리 고개를 내려오다 죽임을 당했다. 그 후 할머니가 신동대굴에서 살았는데, 어느 날부턴가 할머니가 먹을 정도의 쌀이 굴의 한 모퉁이에서.. 2024. 7. 29. 대삼각점-가덕도 연대봉 대삼각점-우리나라 측량의 기준점대삼각점은 영도 봉래산과 거제도 옥녀봉에도 있다연대봉을 몇번 올라다녔는데도 대삼각점이 있는 것을 이제서야 발견했다.우리나라 측량의 기준점인 대삼각점은 조선침탈을 목적으로 일제시대에 대마도와 봉래산 그리고 거제도 옥녀봉을 연결한 것이다100년 전 지도100년 전 지도 최근 한일 과거사 청산 문제가 이슈화 되어 나라가 시끄럽다. 과거사 청산을 어떠한 기준에서, 어느 범위로, 어떻게 청산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지도> 한가지를 놓고 보더라도 과거사를 제대로 밝혀, 국민들에게 진실을 알려야 한다.우리나라의 국토기본도를 제작, 보급하는 국가 기관인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에 실린 ‘국토지리정보원의 발자취’에 보면 ‘현대 지도제작 사업의 출발’이라는 제하에 이런 글이 있다.「조선 후기 정.. 2024. 7. 22. 경주풍력발전단지 여기 풀숲에는 유난희' 도깨비가지'가 많다말벌이 움직임이 없어 자세히 관찰을 해본다말벌이 입에 무언가를 물고 움직임이 없다 2024. 7. 1. 진평왕릉-경주 신라 제26대 왕인 진평왕의 무덤왕릉의 규모가 내가 보았던 신라 왕릉 중에서 제일 큰 것 같다아들이 없어 맏딸인 덕만공주가 제27대 선덕여왕이 된다.진평왕은 진흥왕의 맏아들인 동륜의 아들이기도 하다.왕릉 앞으로 남산의 금오봉과 고위봉이 보인다 2024. 7. 1. 사상근린공원 2024. 6. 24. 복천박물관-복산동 부산에 살면서도 처음으로 와봤다.역사에 관심을 많이 가지지 못하다보니 시간을 내어서 이런 고적 답사를 해보는 것이 어렵다.우리 조상들이 살아온 변천사를 보게 되는 것 같아서 흥미롭다.우리가 죽고 나면 후세 사람들도 또 이런 감정을 가지리라.... 야외전시실옥내전시실은 에어컨을 틀지않던데야외전시실은 에어컨을 틀고 보존을 하고 있었다정상적으로 왔으면 반대편에서 저 산으로 올라왔지 싶다건너편 산이 마안산이다금련산과 황령산 방향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복천박물관은 무료관람이다1층부터 3층까지 있다 2024. 6. 24. 한국풍수선양재단성지 2024. 6. 10. 반구정-함안 2024. 5. 27. 합강정-함안 2024. 5. 27. 동산정-함안 동산정은 세조 때 병조판서를 지낸 이호성을 기리기 위해 정무공 이호성의 손자인 이희조가 지었다고 한다 검암산 정상에는 성산 광평 이씨 종중묘가 있다 2023. 12. 19. 무진정-함안 무진정( 無盡亭)은 생육신의 한 사람인 정절공(貞節公) 조려( 趙旅 )선생의 손자인 무진( (無盡) 조삼( (趙參)선생이 1542년에 세운 정자라고 한다. 조삼 선생은 사헌부 집의 겸 춘추관 편서관을 지냈다. 부처님 오신 날 정자 앞 연못에서는 함안 고유의 민속놀이인 낙화놀이가 열린다고 한다. 2023. 12. 19. 대삼각점-영도 봉래산 우리나라 측량의 기준점이 되는 대삼각점 거제도 옥녀봉에도 대삼각점이 있다 우리나라 측량의 기준점은 조선침탈을 목적으로 일제시대에 대마도와 봉래산 그리고 거제도 옥녀봉을 연결한 것이다. 거제도 옥녀봉의 대삼각점 대삼각점-거제 옥녀봉 (tistory.com) 2022. 12. 19. 베틀굴-쇠미산 2022. 2. 15. 덕석바위-쇠미산 2022. 2. 15. 용소웰빙공원-기장 아담한 공원이다 다른 계절에 찾아오면 제법 운치가 있겠다 2022. 2. 4. 밀양 만어사 경석 밀양의 3대 신비 중의 하나인 만어사 경석 동해 용왕의 왕자와 일만 마리의 고기떼가 바위로 변했다는 전설 이 바위 가운데 여섯 비구니가 변해서 생긴 바위가 쇳소리가 난다고 한다 밀양의 3대 신비: 국난에 땀을 흘린다는 표충비,여름에도 얼음이 언다는 얼음굴 얼음,만어사 경석 쇳소리가 나는 돌을 찾았다 2022. 1. 17. 작원잔도-삼랑진 작원관지 조선시대 관원들의 숙소가 있었고 나룻터를 오르내리는 사람과 화물들을 검문하고 검색했다고 한다. 임진왜란때는 밀양부사 박진장군이 왜적을 맞아 결사항전했던 곳이라고 한다 2021. 11. 9. 경주 감포 나정고운모래해변 2021. 6. 21. 일일명상록(명언) 2021. 6. 21. 이전 1 2 3 4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