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상석1007

천주산 용지봉(641m)-창원 2025. 4. 7.
덕주봉(585m)-창원 2025. 3. 31.
장복산(593m)-창원 2025. 3. 31.
영축산(1081m)-양산 영축산이 3월에 눈이 있다니~영축산을 그렇게나 많이 올라다녔어도3월에 눈이 쌓여있는 것을 본 적이 없었다.멋지다~신불산도 하얀 눈이 유혹을 한다멀리 천황산 재약산도 흰눈을 덮어쓰고 있다오봉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에도 눈이 있고 2025. 3. 10.
고헌산(1034m)_울주 2~30m 밖도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안개가 자욱하다 2025. 3. 3.
고헌산 동봉(1035m)-울주 고헌산 동봉고헌산을 오르면서 오늘처럼 안개가 자욱 때는 보지 못 했다 2025. 3. 3.
시명산(675.6m)-기장,양산 시명산도 조망이 없다시명산은 양산 명동과 기장 장안사 양쪽에서 많이 오른다 2025. 2. 24.
불광산(660m)-기장 불광산은 조망이 없는 곳이다그러나 장안사에서 불광산만 목표로 가볍게 산행을 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 2025. 2. 24.
용두산(202.7m)-창원 저도 바닷가에 위치한 낮은 산이지만 산악회와 일반인들이 많이 찾고 있는 곳이다정상에서 연육교를 바라보는 풍광이 한폭의 그림이다 2025. 2. 17.
석대산(564m)-창녕 구현산을 오르는 중간에 있는 쌍교산에도 설치된 정상석이석대산에는 없다.높이도 쌍교산보다 더 높은데도 말이다.푸대접 받는다고 생각할 것 같다 2025. 2. 10.
구현산(579m)-창녕 구현산은 조망이 하나도 없다석대산에서 구현산을 거쳐  화왕산으로 연결되는 중간에 위치한 산이다 2025. 2. 10.
쌍교산(469.5m)-창녕 들머리에서 쌍교산까지는 연속된 오르막이다위로 올라갈수록 경사가 더  세다.약45도 정도는 되는 것 같다.정상에서면 남쪽으로 조망이 트인다 2025. 2. 10.
신불산(1159m)-울주 2025. 2. 3.
간월산(1069m)-울주 2025. 2. 3.
망성봉(377m)-울산 377봉에는 울산대학교산우회에서 망성봉이라는 정상석을 세워놨다커다란 시설물도 들어섰는데 용도가 궁금하다그리고 발전기 같은게 돌아가는 소리가 웅웅 거리는데용도가 궁금하다287봉에는 누군가 신비봉이라는 이름도 지었다 2025. 1. 31.
무학산(344m)-울산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무학산 정상에 서면 비교적 조망이 좋다정상석 좌측으로는 문수산이 있고, 그 우측으로 영축산등 영남알프스 산군들이 희미하다좌측으로는 울산 시가지가 보이고 멀리 울산항의 현대중공업 시설물등이 보인다정상석 뒤 우측으로는 연화산과 치술령 국수봉 옥녀봉 등이 희미하다 2025. 1. 31.
백월산(428m)-창원 백월산은 주변의 산보다 높이는 낮지만, 사방이 잘 보이는 위치에 있어 조망이 좋다.백월산은 또한 창원 최초의 가람인 백월산 “남사”가 있었다고 삼국유사에 전하고 있다. 2025. 1. 13.
운문산(1188m)-밀양 청도 2025.1.5일 영남알프스 7봉 완등 중오후 3시30분 경에 올랐는데 아무도 없다온전치 못한 인증사진만 겨우 남기고 하산을 했는데내려오면서 보니 20여명이 더 올라오고 있었다.눈발이 날리는 날씨였다 2025. 1. 6.
가지산(1241m)-밀양 청도 2025.1.5(일)영남알프스 7봉 완등을 위해서 가지산을 올랐다.날씨도 춥고 바람이 너무 많이 불어서 인증사진만 남기고 바로 내려와야 했다 2025. 1. 6.
중봉(1167m)-밀양 중봉에서의 전망도 좋은 편인데2025.1.5일 신년 산행하는 날 바람이 너무 많이 불어서 오래 머물지 못했다 2025. 1. 6.
개좌산(449m)-반송 좌측부터 천성산 철마산 당나귀봉 거문산 문래봉 대운산 달음산 등이 저마다의 위용을 뽐내고 있다 2024.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