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토지리정보원에 좌일곡령(座壹谷嶺)으로 표기된 것은
좌대곡령(座臺谷嶺)을 오독한 결과라고 한다. 臺(돈대 대), 壹(한 일)
광복이전 지도에는 좌대곡령으로 표기가 되어 있다고 한다.
그러던 것이 어느 순간 좌일곡령으로 오독(誤讀)하여 굳어진 결과라고 하니
한자를 잘 모르겠거던 오독(誤讀)하지 말고 한자 그대로 표기하는 것이 현명하다.
아래는 오독(誤讀)의 결과물들이라고 하니 정말 주의해야 겠다.
백두대간 卵含山(난함산)을 卯含山(묘함산)으로
낙동정맥 佛態嶺(불태령)을 佛熊嶺(불웅령)으로
兩雪嶺(양설령)을 雨雪嶺(우설령)으로
금남정맥 城項山(성항산)을 城項山(성정산)으로
호남정맥 鱉山(별산)을 鰲山(오산)으로
육백지맥 鞍項山(안항산)을 鞍頂山(안정산)으로
왕령지맥 戴尼山(대니산)을 載尼山(재니산)으로
진주시계 寶岑山(보잠산)을 寶岺山(보령산)으로
출처; http://blog.daum.net/hansemm/8110492
좌대곡령에서 바라본 가야산
수도암에서 바라봤을 때는 영락없는 왕관 모양을 하고 있었는데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서 모양이 바뀐다
비계산 우두산 방향
'정상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두산(1046m)-거창 (0) | 2018.06.05 |
---|---|
비계산(1130m)-거창 합천 (0) | 2018.06.05 |
단지봉(1327m)-거창 김천 (0) | 2018.05.29 |
정족산(700m)-양산 (0) | 2018.05.21 |
황매산(1108m)-합천 산청 (0) | 2018.05.14 |
댓글